[현장연결] 윤 대통령 상공의날 행사서 특별강연…"자유주의 경제"<br /><br />윤석열 대통령이 제51회 상공의날 기념식에 참석해 특별 강연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자유시장경제의 의미와 정부의 경제 정책 방향을 짚을 예정인데요.<br /><br />지금 현장으로 가봅니다.<br /><br />[윤석열 / 대통령]<br /><br />[현장연결] 윤 대통령 상공의날 행사서 특별강연…"자유주의 경제"<br /><br />우리 기업인 여러분께서 밤낮 없이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정말 얼마나 열심히 뛰고 계십니까?<br /><br />여러분께서 더 열심히 마음껏 뛰실 수 있도록 뒷받침해드리는 것이 저와 정부의 역할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한편으로는 이 역할을 어떻게 하면 좀 더 잘 할 수 있나 고민도 하고 또 무거운 책임감도 느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최근 공급망 분절과 블록화로 WTO 체제가 흔들리면서 정부와 기업이 함께 뛰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.<br /><br />수익이 많이 나는 대형 사업들은 상대국에서도 정부가 관여해서 발주하는 경우도 많고 그래서 각국 정부와 좋은 외교관계를 맺는 것도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저는 취임하고 지난 한 1년 10개월 동안 이런 공급망 분절, 블록화 상황에 적극 대응하면서 우리 경제 환경을 혁신하기 위해 나름 최선을 다해왔다고 생각합니다.<br /><br />우리 기업인 여러분께서도 원팀 코리아로 정말 열심히 함께해 주셨습니다.<br /><br />민간이 앞에 나서고 정부가 뒤에서 밀면서 힘을 모아 해외 시장을 개척하고 또 많은 분야에서 수주도 꽤 했습니다.<br /><br />여러분의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 또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기업가 정신이 우리 대한민국 경제 회복의 원동력이 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어려운 환경에서도 열심히 뛰어주시고 모두가 상생할 수 있도록 협력해 주신 여러분께 다시 한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.<br /><br />앞으로도 저와 정부는 기업인 여러분을 뒷받침하면서 해외 시장을 견인하고 우리 경제를 혁신시키는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.<br /><br />오늘 이 기쁜 상공의 날에 저를 연사로 이렇게 초청해 주셔서 여러분과 함께 제가 생각하는 국정 기조와 경제운영 뭐 철학에 대해서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.<br /><br />지금 우리는 새로운 미래로 나아가는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.<br /><br />경제가 다시 도약하고 희망찬, 역동적인 미래를 열어갈 수 있도록 지금 우리가 서 있는 위치가 어디인지 먼저 정확하게 진단하고 여기에 맞춰서 미래 이정표를 세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<br /><br />오늘 저는 여러분께 제가 생각하는 정책의 방향을 말씀드리고 또 이러한 공유를 통해서 우리가 함께 힘을 더 모으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습니다.<br /><br />상공의 날은 1974년, 지금부터 50년 전에 처음 제정이 됐습니다.<br /><br />그때와 비교하면 1인당 GDP는 563달러에서 60배 가까이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수출은 44억 5,000만 달러에서 이제 7,000억 달러의 고지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현재 우리보다 수출을 많이 하는 나라는 세계에 5개 국가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대한민국이 10대 경제대국을 넘어 글로벌 중추 국가로 도약하고 있는 것입니다.<br /><br />온 국민이 아낌없이 땀을 쏟아 이뤄낸 기적적인 성과이지만 그 길에 맨 앞에는 우리 기업이 있고 또 위대한 지도자가 있었습니다.<br /><br />대한민국 건국부터 오늘까지를 돌이켜보면 역사의 고비마다 위대한 결단이 있었습니다.<br /><br />1945년 광복을 맞았을 때 북녘은 공산 전체주의를 선택했지만 우리는 이승만 대통령의 결단으로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시장경제 체제를 토대로 대한민국을 건국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1948년 정부 수립과 함께 농지개혁, 교육개혁, 정치개혁이라는 3대 개혁으로 오늘날 대한민국의 토대를 닦았습니다.<br /><br />누구나 땅을 가질 수 있고 또 공부할 권리를 누리고 자유롭게 한표를 행사하는 것이 지금은 너무나 당연한 것입니다만 그 당시에는 그야말로 혁명적인 결단이었습니다.<br /><br />무엇보다 농지개혁은 자유민주주의와 자유시장경제를 이 땅에 뿌리내린 경제혁명이었습니다.<br /><br />1948년 1인당 국민소득은 35달러, 소작료는 60% 농민의 85%가 땅 한평 가지지 못한 소작농이었습니다.<br /><br />유상 몰수, 유상 분배 원칙의 농지개혁을 통해 근대 국가 농민들이 자신의 땅을 갖게 된 것입니다.<br /><br />땅 대신 지가증권을 받게 된 지주들은 산업 투자의 새 길을 찾아 나섰습니다.<br /><br />내 땅을 갖게 된 농민들은 대한민국의 든든한 버팀목이요, 허리 역할을 하게 됐습니다.<br /><br />광복 직후 문맹률은 78%에 달했습니다만은 의무교육이 시행된 지 8년 만인 1958년에는 78%에 달하던 문맹률이 4.1%로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6.25 전쟁 중에도 천막에서 교육의 끈을 놓지 않았던 결과입니다.<br /><br />이러한 문맹률의 감소와 교육이 우리 경제 성장에 큰 토대가 되었음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고 하겠습니다.<br /><br />또한 제헌헌법에서 여성과 남성의 평등한 참정권을 천명함으로써 여성의 사회 진출 기반도 마련했습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가 여성 참정권을 인정한 것은 유엔 여성 참정권 협약, 1953년의 유엔협약보다 또 1971년 스위스보다도 빠른 것이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